번역은 창작이다. 원문을 있는 그래도 직역은 하는 것은 바른 번역이 아니다. 그렇다고 원문을 무시한채 번역가의 역량대로 지나친 의역을 하는 것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번역가에게 필요한 것은 균형적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왜 갑자기 번역 얘기를 하느냐 하면, 

이 책 읽기가 쉽지 않다. 처음엔 내용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책을 덮을 때 쯤엔 번역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번역가의 문제일수도 있고, 생소한 프랑스 문화와 결합된 번역이어서 그럴수도 있다. 중요한 건 문장 하나를 읽는 것이 쉽지 않다. 즉 문장력이 떨어진다. 한 문장을 꼽씹어 읽어도, 그 한 문장이 모두 한글로 쓰여있음에도 대체 무슨 말인지 한참을 생각해야 한다. 

서양식 이름으로 인해 흐름이 끊기는 부분도 있다.


책 제목은 정말 유혹적이다. 읽지 않고 책에 대해 말 할 수 있다니... 그리고 바로 따라온 생각은 작가의 개똥 철할이겠구나 싶었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나서는 수긍의 고개를 끄덕였다. 


단순히 수동적으로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것을 추구하지 않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책을 읽지 않고 말 할 수 있어야 하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책과 너무 가까워지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그 책에 대해 생각하지 못하고 글을 쓰지 못한다는 것이 그 요지다. 마치 책은 신성한 것이고 독서는 무해백익이라는 고정 관념이 가득한 세상에 대해 일침을 날린다. 그러한 고정 관념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창조적인 생각을 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사실 처음엔 무슨 이런 책이 있나 싶었다. 헌데 생각해보니 내게도 이런 경험이 있다. 아니 많다. 책을 읽다가 마음에 드는 내용이 있거나 저자가 마음에 들면 그 책의 사상에 빠져들게 된다. 이미 그때는 비판의식이 사라지고 객관적이지 못한 눈으로 책을 바라본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결국 고정 관념에 사로잡혀 창조력을 잃고 뻔한 감상과 깨달음으로 책을 마친다. 


창작, 그것이 결론이다.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왜 책을 읽지 않고 말해야 하는지 모두에 대한 결론이다.

번역가가 이 핵심을 마음으로 받아들였다면 번역에 있어서도 창작의 효과가 나타났을까 싶지만 번역을 읽지 않고 할수는 없는 노릇이니...


Posted by Jean
,

책 리뷰를 쓸 필요도 없는 책은 글로 남기지 않으려고 했는데 이건 아니다 싶은 마음에 글을 남긴다.


저자 본인을 수필가라 칭하고 무한한 자부심을 가진 사람.

수필의 미덕은 형식이 없어서가 아니라 '무형식이 형식'이라는 편안함으로 사람들에게 글쓰기의 부담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헌데 이 수필가는 수필을 또 하나의 형식에 가두어 두려고 한다. 저자가 말하는 바를 모르는 것이 아니다. 요즘엔 블로그를 비롯해 글을 쓸 수 있는 여건이 좋아지다보니 너도나도 수필가랍시고 글답지 않은 글을 쓰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도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작금의 현실을 비난하기 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바라보고 수정, 발전 가능한 방향을 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용 아무개 씨라는 참 시인 같잖은 시인이 시집이랍시고 묶은...'

이런 문장이 출판된 책에 딱 인쇄되어 있다니 놀랍다. 용 아무개 씨는 용혜원씨다. 시집과 시 한 편을 올려놓고 저런식으로 말 할 수 있는 용기가 부럽다. 글쓰는 이라면 당연히 비판을 겸허히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자신의 말을 합리화하기라도 하는걸까? 그래도 사람이 최소한의 예의는 있어야 하는 법이다. 저자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가시고기>의 작품성을 논하고 현 시대의 허섭쓰레기같은 글로 수필가라 자칭하는 이들이 많다고 끊임없이 얘기한다. 저자의 의견에 동의하는 구석이 있지만서도 같은 말을, 그것도 비난의 말을 그 얇은 책에서 계속 듣다보니 독자로서 짜증이 날 지경이다. 


그렇게 자신있는 분이라면 조금 더 자신감을 갖고 겸허한 마음으로 다른 이들을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경험과 사색, 특히 사색이 중심이 되어야 좋은 수필을 쓸 수 있다는 수필가가 하는 생각이 뭔지 의문스럽다. 

기분좋게 읽기 시작했지만 씁쓸한 뒷맛을 남기는 책이다.


Posted by Jean
,


책에 대한 책 앞에서는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잠깐이라도 들춰보게 된다. 책읽는 고수들의 노하우를 알고 싶기도 하고 다른 사람은 어떤 책을 읽는지 궁금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저자가 말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다.

재미있는 책을 읽을 것과 책을 읽고 글로 남겨라.


저자가 책을 접하게 된 경험들을 구체적으로 말해주면서 어렵지 않게, 그리고 책을 읽는 행위를 부담스럽지 않게 풀어나간다. 그 사실만으로도 참 도움이 된 책이다.


재미있는 책을 읽으라는 것.

맞는 말이다. 무엇을 하든 재미있어야 한다. 즐기는 사람을 이길수 없다고 하지 않는가! 종종 어려운 책을 읽다보면 책읽기가 부담스럽다. 그럴때는 소설이나 무협지를 읽는다. 그러면 손에서 책을 놓지 않게 되고 다시 어려운 책을 접할때 새로운 마음으로 읽어나갈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책을 글로 남기라는 것.

꼭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의외로 쉽지 않은 일이다. 마치 설거지는 독서와 같고, 설거지후 정리는 글쓰기와 같다. 책읽는 건 어렵지 않은데 글로 남기는 건 결심이 필요하다. 적어도 내게는 그러하다. 최근 그 이유를 알았는데 내가 마치 서평을 써야한다는 일종의 부담감이 있는듯 싶다. 전혀 그럴 필요가 없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저자의 권유처럼 서평이 아니라 리뷰라는 생각으로 써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그리고 하나 더! 

책 읽은 것이 아깝다고 무조건 리뷰를 쓰지는 않겠다는 것. 쓸 가치가 없는 책도 있다.

 


Posted by J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