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 시설은 꼭 나쁜 것은 아니지만 오랜 연구 결과 몇 가지 요소가 결합되면 부작용의 위험이 크다는 것을 밝혀냈다.
- 아주 어릴때 보육 시설에 맡긴다.
- 오랜 시간을 맡긴다.(일주일에 20시간 이상)
- 수년간 보육시설에 맡긴다.
아이는 엄마(부모)와의 애착 관계 형성에 있어 적절한 때에 충분한 시간을 함께 보내지 못하면 발달에 필수적인, 엄마와 아이 사이의 유대관계가 위태로워지고, 아이는 부모나 가족의 애정 어린 보살핌을 받지 못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요즘 부모들은 아이를 보육 시설에 맡기면 거기서 다 알아서 해준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함께 시간을 보내고 놀아주는 것은 자신들의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어떤 좋은 보육 시설이라 하더라도 부모만큼 아이를 대할 수는 없다.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아이의 말과 행동에 따라 순간마다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그 수많은 아이들 가운데 내 아이에게만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보육 시설은 없다. 그러다 보면 아이는 더 거칠게 행동하거나 또는 반응을 포기하고 조용히 있게 된다. 두가지 경우 모두 아이의 발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이들은 부모가 키우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보육 시설에 보낼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중요한 것은 '어떤 보육 시설이냐'가 아니라 '나는 어떤 부모인가?'하는 부모의 자질이 더 중요하다. 아이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모성의 민감성'이다. 즉 아이의 요구에 따뜻하고 민감하게 반응해 주는 능력이다. 이 능력은 아이가 부모와 얼마나 함께 있고 어떠한 환경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오랜기간 떨어져 있는 아이는 '모성의 민감성'이 발달하지 못한다. 그렇게 되면 평생 부모 자식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으로 일하는 여성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좋은 보육 시설과 인재를 저렴한 비용으로 서민들에게 제공하는 계획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대부분의 나라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정말 변해야 하는 것은 사회 시스템이다. 보육 시설을 늘리지 말고 부모가 아이를 키울수 있는 사회적인 환경과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정부의 뒤받침이 필요한 일이기도 하지만 각 개인이 성취해야할 목표이기도 하다. 불가능해 보일 수도 있지만 스웨덴을 보라. 이미 그러한 사회적 제도로 많은 아이들이 부모의 손에서 자라고 있다. 원래 그래야 하는 것을 다시 되찾는다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다.